반응형

위험성평가 3

건설안전기술사 및 산업안전/보건 지도사 시험 준비 [산안법 제36조_위험성평가]

안녕하세요~안전하는 사람...(주)K안전보건진심 컨설팅 고영배 대표이사입니다. 건설안전기술사 및 산업안전/보건 지도사 시험 준비를 위해~~대한민국의 안전보건에 진심을 담겠습니다.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위험성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험성평가란? ❍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 □ 위험성평가의 핵심은? ① 현장 근로자가 위험성평가의 취지, 방법 및 절차를 알고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현장의 핵심 위험요인을 찾아 개선 ② 기업의 규모와 특성을 반영하면서효율적이고 간편한 방식의 위험성평가를 실시 ③ 또한, 위험성평가의 결과는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등을 통해현장의 ..

위험성평가 법정강의 및 컨설팅(feat 대한기술사사무소)

안녕하세요 대한기술사사무소 고영배 대표입니다. 이번 정권들어서 중대재해감축로드맵(2022.11.30) 및 중대재해처벌법(4조3항)에 따라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위험성평가(36조)가 상당히 부각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과는 다르게 위험성평가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고, 작년 작업장 위험성평가 관한 지침(2023.5.22)개정에 따른 새로운 상시평가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상당히 이전과는 다르게 현장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는 시행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힘들겠지만, 현장의 재해예방 측면에서는 상당히 실효성은 있는것 같습니다. 아울러 올해 3024.1.27이후 5인이상 50인 이하의 사업장이 중대재해처벌법 대상에 들어옴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의 의무를 지게 되어있..

위험성평가의 실시(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안녕하세요 대한기술사사무소 고영배 대표입니다. 오늘은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위험성ㅍ여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성평가는 2013년도에 산업안전보건법에 제도와 되었고, 최근까지 실효성의 문제가 있었던 법적인 사항인데 중대재해처벌법과 2022년 11월 30일자에 발표한 중대재해감축로드맵의 중요한 전략과제중 첫번째로 되두가 되면서 위험성평가의 중요성이 더 부각이 되고 있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위험성평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관련 근거 • 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관련 법령 법적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관리감독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7조(안전관리자) ⦁산업안전보건법 제18조(보건관리자) ⦁산업안전보건법 제6..

반응형

추천 링크